자료실

기타[뉴스레터] 차별금지법 제정 3분이면 충분합니다

2021-06-16
조회수 15923
 
sns_icon_homepage.pngsns_icon_twitter.pngsns_icon_facebook.pngsns_icon_instagram.pngsns_icon_youtube.pngsns_icon_happybean.png

1942_1623206122.png

안녕하세요. 한국여성민우회입니다. 
 
여러분! 우편함을 열어보셨나요? 며칠 전 회원분들께 민우회 소식지 〈함께가는 여성〉을 보내드렸어요. 이번엔 '젠더를 가로지르다'라는 주제로 트랜스젠더 이슈를 다뤘답니다. 우리 모두가 '오롯한 당신'으로 살아가는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소식의 버튼을 통해 소식지를 보러 오세요! 
 
그리고 오늘은 여러분께 부탁 드릴 것이 있어요. 차별 없는 사회를 위한 차별금지법 제정 청원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현재 8만 여 명이 동의했고, 국회에서 차별금지법을 반드시 논의하게 하려면 2만 여명의 동의가 더 필요합니다. 청원 기간이 2주가 채 남지 않았답니다. 아직 참여하지 않으신 분들은 꼭 참여해 주세요~
 
차별금지법 제정 청원은 아래 소식의 버튼을 통해 함께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준비한 소식도 끝까지 함께해 주세요~
[차별금지법 제정하자! 10만행동] 국민동의청원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인권의 상식이자 더는 늦출 수 없는 평등의 약속 차별금지법
 
[소식지] 2021년 상반기 〈함께가는 여성〉이 나왔습니다~ 
젠더를 가로지르다
 
[설문] '성적수치심'에 빨강카드를! 우리의 목소리로 수치심 OUT 
수치심: 다른 사람이 자신을 결점이 있는 사람으로 바라본다고 판단할 때 발생하는 정서
[2021 한국여성민우회 후원의밤] 그런데, 우리가 세상을 바꿀 거야
후원의 밤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차별금지법 제정하자! 10만행동] 국민동의청원

1942_1623203429.jpg

 
차별금지법이 금지된 나라, 인권의 상식은 언제까지 '나중에' 
 
2006년 국가인권위원회의 차별금지법 제정 권고 이후 
17대 국회에서 발의 시작, 21대 국회에서 발의된 지도 1년.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인권의 상식인 차별금지법 국회는 언제까지 외면할 겁니까?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인권의 상식이자 더는 늦출 수 없는 평등의 약속 차별금지법.
 
10만행동으로 함께 제정합시다!
차별금지법을 바라는 시민이 발의자가 되는 10만행동에 함께 하고, 
주변의 동료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널리 알려주세요~!
 
[소식지] 2021년 상반기 〈함께가는 여성〉이 나왔습니다~

1942_1623204922.jpg

젠더를 가로지르다.
 
2021년 상반기 〈함께가는 여성〉은 '젠더를 가로지르다'라는 주제로 기획 되었는데요. 아래에 소식지 중 일부를 소개합니다. 이외에도 민우회의 상반기 활동과 회원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소식지를 보러오세요~
 
"트랜스젠더가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는 혐오와 차별은 우리 사회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젠더 이분법과 함께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서 젠더는 (그 무한한 다양성이 배제된 채) 남성 또는 여성으로만 구분되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 두 가지는 성별화 된 신체 특징과 함께 정의된다."  - 트랜스젠더에 대한 두 가지 오해와 편견 중에서
 
[설문] '성적수치심'에 빨강카드를! 우리의 목소리로 수치심 OUT

1942_1623207018.png

수치심: 다른 사람이 자신을 결점이 있는 사람으로 바라본다고 판단할 때 발생하는 정서
(심리학용어사전, 한국심리학회)
 
사회적으로 성폭력피해자에게 피해자다움을 요구하는 ‘성적 수치심’이라는 단어에 대한 문제의식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JTBC, 한겨레 등 ‘성적 수치심’이 각종 법에서 사라져야 한다는 기사들이 나오고, 최근 검찰에서는 내부권고에 따라 일부 내규에서 ‘성적 수치심’ 표현을 ‘성적 불쾌감’으로 개정했는데요.
 
한국여성민우회는 2013년부터 ‘성적수치심’이 사회문화적으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주목해왔습니다. 하지만 여전히도 성폭력 관련 법률에서는 ‘성적 수치심’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민우회는 ‘성적 수치심’이 명시된 법의 변화를 만들기 위해 목소리를 모으고 있습니다. 이렇게 모여진 우리의 의견을 국회나 법원에 전달하려고 합니다. ‘피해자’의 이미지를 고착화시키는 ‘성적 수치심’을 타파하기 위한 여정에 함께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본 사업은 서울특별시 성평등기금 후원으로 진행됩니다 ※※
 
[2021 한국여성민우회 후원의밤] 그런데, 우리가 세상을 바꿀 거야

1942_1623211716.png

 
후원의 밤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지난 주 발송된 후원의 밤 안내 메일을 받으셨나요? 민우회가 무려 유튜브 생중계로! 온라인 후원의 밤을 엽니다. 채팅으로 시끄럽게 수다떨러 만나요! 후원해주시고 후원약정서를 작성해주시면 당일에 참여할 수 있는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10만원 이상 후원자에게 증정하는 기꺼이 불편해지기 세트의 정체(?)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데요. 어떤 구성인지 곧 공개되니까 많(은)관(심)부(탁드립니다~)
 
민우회가 활동을 이어나갈 한 해 재정 마련을 위해서 모금액의 목표는 8500만원인데요. 850명이 10만원이라는 소중한 마음으로 연대해주신다면 한국여성민우회가 더 힘차게 세상을 바꿔나갈 수 있습니다. 
 
 
민우회 활동이 더 궁금한 당신을 위한 소식
(자세한 내용은 각 문단 클릭!)
 
 
[모집] 프리랜서, 특수고용, 플랫폼... 비정형 여성노동자 인터뷰이를 찾습니다! (5~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