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출문제: 성폭력 사건 이미지 영역
성폭력사건 언론 보도에서 사용해야 할 이미지는 무엇일까요?
① 피해자가 주저앉아 얼굴을 손으로 가린 모습
② 여성의 몸매가 부각되거나 옷차림이 노출되어 있는 모습
③ 가해자가 괴물, 늑대, 검은손으로 묘사되어 있는 모습
④ 기타( )
2.
지금까지 기사에서
피해자의 수동적인 모습,
피해자의 특정 신체부위가 부각되거나
가해자를 검은손 또는 괴물로 묘사하는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언론에서 성폭력 사건 이미지를 사용해 온 방식이 궁금하다면 지난 카드뉴스 1편을 참고해 주세요.)
이런 이미지 사용 이대로 괜찮을까요???
성폭력 사건을 다루는 기사에서
어떤 이미지를 사용해야 할까요?
3.
피해자는 수동적인 모습으로만 존재하지 않습니다.
2018년도 미투 물결 이후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공간에서 자신의 피해 경험을 발화하는
여성 시민들이 있었습니다.
4.
언론에서는 성폭력 사건을 보도할 때
피해자와 가해자만 부각합니다.
하지만 공동체 구성원들은 성폭력 사건의 재발을 막고자
목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5.
성폭력 사건 가해자의 대부분은 검은손, 악마가 아닌
일상에서 쉽게 마주치는 '평범한' 사람들 입니다.
'평범한' 가해자가 제대로 처벌받는
이미지가 구현되어야 합니다.
6.
언 론 에 게 요 구 합 니 다!
언론은 성폭력 보도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때 입니다.
이제는 바뀌어야 합니다.
7.
첫째, 성폭력 사건 피해자는 자신의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을기억하고 알립니다.
둘째, 성폭력 사건은 피해자와 가해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합니다.
해결을 위해서 공동체가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때 해결될 수 있음을 알립니다.
셋째, 피해자를 부각하는 것이 아닌
가해자가 체포되고 법정에 서는 모습을 그립니다.
그리하여 사법정의가 실현된다는 것을 알립니다.
8.
넷째, 성폭력 사건 보도 말미에
피해자가 도움 받을 수 있는 기관번호,
피해자 주변인이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알립니다.
다섯째, 기자로서 내가 사용하는 이미지가
성폭력 피해자에게, 시민들에게
어떤 영향이 있는지 적극 고민해야 합니다.
9.
성폭력사건 언론 보도에서 사용해야 할 이미지는 무엇일까요?
① 피해자가 주저앉아 얼굴을 손으로 가린 모습
② 여성의 몸매가 부각되거나 옷차림이 노출되어 있는 모습
③ 가해자가 괴물, 늑대, 검은손으로 묘사되어 있는 모습
④ 기타( )
모범 답안: "다른 식의 보도는 가능하다!"
여성 시민들은 바라고 있습니다.
언론 보도에서 더 다양한
이미지와 마주하길 바랍니다.
1.
기출문제: 성폭력 사건 이미지 영역
성폭력사건 언론 보도에서 사용해야 할 이미지는 무엇일까요?
① 피해자가 주저앉아 얼굴을 손으로 가린 모습
② 여성의 몸매가 부각되거나 옷차림이 노출되어 있는 모습
③ 가해자가 괴물, 늑대, 검은손으로 묘사되어 있는 모습
④ 기타( )
2.
지금까지 기사에서
피해자의 수동적인 모습,
피해자의 특정 신체부위가 부각되거나
가해자를 검은손 또는 괴물로 묘사하는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언론에서 성폭력 사건 이미지를 사용해 온 방식이 궁금하다면 지난 카드뉴스 1편을 참고해 주세요.)
이런 이미지 사용 이대로 괜찮을까요???
성폭력 사건을 다루는 기사에서
어떤 이미지를 사용해야 할까요?
3.
피해자는 수동적인 모습으로만 존재하지 않습니다.
2018년도 미투 물결 이후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공간에서 자신의 피해 경험을 발화하는
여성 시민들이 있었습니다.
4.
언론에서는 성폭력 사건을 보도할 때
피해자와 가해자만 부각합니다.
하지만 공동체 구성원들은 성폭력 사건의 재발을 막고자
목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5.
성폭력 사건 가해자의 대부분은 검은손, 악마가 아닌
일상에서 쉽게 마주치는 '평범한' 사람들 입니다.
'평범한' 가해자가 제대로 처벌받는
이미지가 구현되어야 합니다.
6.
언 론 에 게 요 구 합 니 다!
언론은 성폭력 보도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때 입니다.
이제는 바뀌어야 합니다.
7.
첫째, 성폭력 사건 피해자는 자신의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을기억하고 알립니다.
둘째, 성폭력 사건은 피해자와 가해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합니다.
해결을 위해서 공동체가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때 해결될 수 있음을 알립니다.
셋째, 피해자를 부각하는 것이 아닌
가해자가 체포되고 법정에 서는 모습을 그립니다.
그리하여 사법정의가 실현된다는 것을 알립니다.
8.
넷째, 성폭력 사건 보도 말미에
피해자가 도움 받을 수 있는 기관번호,
피해자 주변인이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알립니다.
다섯째, 기자로서 내가 사용하는 이미지가
성폭력 피해자에게, 시민들에게
어떤 영향이 있는지 적극 고민해야 합니다.
9.
성폭력사건 언론 보도에서 사용해야 할 이미지는 무엇일까요?
① 피해자가 주저앉아 얼굴을 손으로 가린 모습② 여성의 몸매가 부각되거나 옷차림이 노출되어 있는 모습③ 가해자가 괴물, 늑대, 검은손으로 묘사되어 있는 모습④ 기타( )
모범 답안: "다른 식의 보도는 가능하다!"
여성 시민들은 바라고 있습니다.
언론 보도에서 더 다양한
이미지와 마주하길 바랍니다.